top of page

경기도 포천 채집 - 2012.04.24


꽃다지(Drabanemorosa L.)


  • 한약명 : 정력자(??子)

  • 효능 : 사폐평천, 이수소종

  • 주치 : 폐옹천급, 담음해수, 소변불리, 흉복적수

  • 십자화과(Cruciferae)

  • 꽃다지속(Draba) 5종

  • 분포 : 전국각지

  • 형태 : 근생엽은 방석형으로 퍼지고 톱니가 약간 있고, 경생엽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장타원형. 꽃은 황색으로 4-6월 피며 총상화서, 꽃잎은 4개이고 넓은 주걱형. 열매는 각과로서 편평하며 장타원형. 높이는 20cm 정도.

  • 이년초, 총상화서


참고문헌 : 한약약리학(김호철, 2004), 중화본초(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99), 대한식물도감(이창복, 2003), 풀베개(http://wildgreen.co.kr/)



냉이(Capsellabursapastoris (L.) L.W.Medicus)


  • 한약명 : 제채(薺菜)

  • 효능 : 양간지혈, 평간명목, 청열이습

  • 주치 : 토혈, 뉵혈, 객혈, 뇨혈, 붕루, 구적동통, 안저출혈, 고혈압병, 적백이질, 신염수종, 유미뇨

  • 십자화과(Cruciferae)

  • 냉이속(Capsella) 1종

  • 분포 : 전국 각지

  • 형태 : 근생엽은 지면에 퍼지며 뭉뚝한 치아모양, 경생엽은 호생하고 잎 아래 부분이 줄기를 감쌈. 꽃은 백색으로 5-6월에 십자화가 달린 총상화서, 꽃잎은 4개이며 도란형. 열매는 편평한 도삼각형. 뿌리는 땅속에 직근으로 곧게 뻗음. 높이 10-60cm.

  • 이년초, 총상화서


참고문헌 : 한약약리학(김호철, 2004), 중화본초(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99), 대한식물도감(이창복, 2003), 풀베개(http://wildgreen.co.kr/)



쇠뜨기(Equisetumarvense L.)

  • 한약명 : 문형(問?)

  • 효능 : 지혈, 이뇨, 명목

  • 주치 : 비뉵, 토혈, 객혈, 변혈, 붕루, 외상출혈, 임증, 목적예막

  • 속새과(Equisetaceae)

  • 속새속(Equisetum) 10종

  • 분포 : 전국각지

  • 형태 : 잎은 줄기마디에 바늘 모양으로 돌려남. 포자낭수는 긴 타원형. 생식경은 이른 봄에 나온 후 영양경이 자람. 지하경은 길게 뻗으며 번식. 높이 30~40cm

  • 다년초


참고문헌 : 한약약리학(김호철, 2004), 중화본초(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99), 대한식물도감(이창복, 2003), 풀베개(http://wildgreen.co.kr/)



제비꽃(Violamandshurica W.Becker)

  • 한약명 : 동북근채(東北?菜)

  • 효능 : 청열해독, 소종배농

  • 주치 : 옹저정독, 목적종통, 인후종통, 유옹, 황달, 각종농종, 임파결핵, 설사, 이질

  • 제비꽃과(Violaceae)

  • 제비꽃속(Viola) 61종

  • 분포 : 경남, 충북, 경기도

  • 형태 : 뿌리에서 긴 엽병이 있는 잎이 모여 남, 잎은 피침형이며 둔두. 꽃은 자색으로 4-5월에 피며 긴 화경에 한 송이의 꽃, 꽃잎은 5개. 삭과로서 광타원형. 줄기는 없음. 높이는 10~20cm.

  • 다년초


참고문헌 : 한약약리학(김호철, 2004), 중화본초(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99), 대한식물도감(이창복, 2003), 풀베개(http://wildgreen.co.kr/)




서양민들레(Taraxacumofficinale Weber)

  • 한약명 : 포공영(蒲公英)

  • 효능 : 淸熱解毒, 淸熱利濕

  • 주치 : 熱毒癰腫, 瘡瘍?節, 陽性瘡癰腫痛

  • 국화과(Compositae)

  • 민들레속(Taraxacum) 10종

  • 분포 : 전국의 도시와 도시 근교에 분포

  • 형태 : 잎이 지면에서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타원형이고 밑부분이 좁으며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밑을 향해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밋밋하다. 꽃은 양성으로서 3-9월에 피며 모두 열매를 맺고 지름 2-5cm로서 황색이며 잎이 없는 화경끝에 1개씩 위를 향해 달린다. 총포편은 선형이고 녹색 또는 검은빛이 돌며 털이 없고 외포편은 뒤로 젖혀지며 내포편은 곧추선다. 화상(花床)은 나출된다.

  • 수과는 갈색이며 편평한 방추형이고 짧은 돌기가 세로로 나열되며 길이 2-4mm로서 윗부분이 부리처럼 길어지고 관모는 백색이며 수과 끝에 산형으로 길게 퍼진다. 뿌리가 깊이 들어간다.

  • 다년초


참고문헌 : 한약약리학(김호철, 2004), 중화본초(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99), 대한식물도감(이창복, 2003), 풀베개(http://wildgreen.co.kr/)



말냉이(Thlaspiarvense L.)


  • 한약명 : 석명(?蓂)

  • 효능 : 淸熱解毒, 利水消腫

  • 주치 : 목적종통, 폐옹, 장옹, 설사 이질, 백대, 산후어혈복통, 소화불량, 신염수종, 간경화복수, 옹창종독

  • 십자화과(Cruciferae)

  • 말냉이속(Thlaspi) 1종

  • 분포 : 전국 각지의 낮은 지대

  • 형태 : 근생엽은 총생하며 넓은 주걱형, 경생엽은 호생하며 도피침상 긴 타원형, 둔두이고 가장자리에 톱니. 꽃은 5월에 피며 흰색의 십자화, 꽃잎은 도란형. 열매는 각과로서 원반형. 높이 20-60cm.

  • 이년초, 총상화서


참고문헌 : 한약약리학(김호철, 2004), 중화본초(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99), 대한식물도감(이창복, 2003), 풀베개(http://wildgreen.co.kr/)




귀룽나무(Prunuspadus L. for. padus)


  • 한약명 : 앵액(櫻額)

  • 효능 : 健脾止瀉

  • 주치 : 비허설사

  • 장미과(Rosaceae)

  • 벚나무속(Prunus) 57종

  • 분포 : 전국의 표고 1,800m 이하의 산골짜기

  • 형태 : 잎은 호생하며 도란상 타원형, 꽃은 5월에 피며 백색 총상화서. 핵과는 둥글며 6-7월. 어린 가지를 꺾으면 냄새. 주근과 측근이 있음.

  • 낙엽활엽관목, 총상화서


참고문헌 : 한약약리학(김호철, 2004), 중화본초(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99), 대한식물도감(이창복, 2003), 풀베개(http://wildgreen.co.kr/)




미선나무(Abeliophyllumdistichum Nakai)


  • 물푸레나무과(Oleaceae)

  • 미선나무속(Abeliophyllum) 5종

  • 분포 : 전국 각지

  • 형태 : 잎은 대생하며 난형이고 예두. 꽃은 3-4월에 피며 백색 총상화서. 시과는 원상 타원형. 높이 1.5 m.

  • 낙엽활엽관목, 총상화서

  •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


참고문헌 : 한약약리학(김호철, 2004), 중화본초(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99), 대한식물도감(이창복, 2003), 풀베개(http://wildgreen.co.kr/)




독미나리(Cicutavirosa L.)

  • 한약명 : 독근근(毒芹根)

  • 효능 : 拔毒, 祛瘀, 止痛

  • 주치 : 급’만성골수염, 통풍, 풍습통

  • 독성이 매우 강함

  • 산형과(Umbelliferae)

  • 독미나리속(Cicuta) 2종

  • 분포 : 중부 이북의 습지

  • 형태 : 근생엽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속이 빈 원통형, 윗부분의 잎은 위로 갈수록 잎이 작아지고 가는 엽초가 됨. 6-8월에 흰꽃이 피고 복산형화서. 열매는 난상 구형이고 8-9월에 익음. 높이 1.0 m

  • 다년초, 유독식물, 산형화서

  •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

참고문헌 : 한약약리학(김호철, 2004), 중화본초(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99), 대한식물도감(이창복, 2003), 풀베개(http://wildgreen.co.kr/)




괴불주머니(Corydalispallida (Thunb.) Pers.)


  • 한약명 : 심산황근(深山黃?)

  • 효능 : 淸熱利濕, 解毒

  • 주치 : 습열설사, 적백이질, 대하, 옹창열절, 단독, 풍화적안

  • 현호색과(Fumariaceae)

  • 현호색속(Corydalis) 34종

  • 형태 : 잎은 난형이며 우상복엽. 꽃은 4-7월에 핌. 열매는 삭과로서 8-9월에 결실. 높이 20-50 cm.

  • 이년초


참고문헌 : 한약약리학(김호철, 2004), 중화본초(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99), 대한식물도감(이창복, 2003), 풀베개(http://wildgreen.co.kr/)




꽃마리 (Trigonotis peduncularis )


  • 한약명 : 부지채(附地菜)

  • 효능 : 行氣止痛, 解毒消腫

  • 주치 : 위통토산, 이질, 열독옹종, 수각마목

  • 지치과(Boraginaceae)

  • 꽃마리속(Trigonotis) 4종

  • 분포 : 전국 들, 밭둑, 길가

  • * 형태 : 잎은 호생, 긴 타원형 또는 난형. 꽃은 4-7월에 피며 연한 하늘색. 열매는 소견과로서 8월에 성숙. 높이 10-30cm.

  • 이년초, 총상화서

참고문헌 : 한약약리학(김호철, 2004), 중화본초(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99), 대한식물도감(이창복, 2003), 풀베개(http://wildgreen.co.kr/)




복자기 (Acertriflorum Kom.)


* 단풍나무과(Aceraceae)

* 단풍나무속(Acer) 27종

* 분포 : 전국 각처의 숲속 분포, 표고 100~1,300m

* 형태 : 잎은 대생, 긴 타원상 난형이며 표면에 털, 피침형이며 점첨두. 꽃은 5월에 피며 3개의 산방화서. 열매는 시과로 9-10월에 성숙.

* 낙엽활엽교목, 산방화서

참고문헌 : 한약약리학(김호철, 2004), 중화본초(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99), 대한식물도감(이창복, 2003), 풀베개(http://wildgreen.co.kr/)




봄맞이 (Androsace umbellata Merr.)


* 한약명 : 후롱초(喉?草)

* 효능 : 淸熱解毒, 消腫止痛

* 주치 : 인후종통, 구창, 아통, 두통, 적안, 풍습비통, 효천, 임탁, 정창종독, 탕화상, 사교상, 질타손상

* 앵초과(Primulaceae)

* 봄맞이속(Androsace) 5종

* 분포 : 전국의 들.

* 형태 : 잎은 근출엽, 10-30개가 뭉쳐나고 반원형 또는 편원형, 삼각상의 둔한 톱니. 꽃은 4-5월에 피고 백색. 삭과는 둥글며 5월에 성숙. 전체에 흰털이 많음. 높이 약 10cm.

* 일년생, 이년초


참고문헌 : 한약약리학(김호철, 2004), 중화본초(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99), 대한식물도감(이창복, 2003), 풀베개(http://wildgreen.co.kr/)

Commentaires


© 2021 by Hocheol Kim Ph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