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ll Posts.
검색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9 - 2020. 11. 26.](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5804f05206d04aecbb83a683a61a2af6~mv2.jpg/v1/fill/w_301,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b2359f_5804f05206d04aecbb83a683a61a2af6~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9 - 2020. 11. 26.](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5804f05206d04aecbb83a683a61a2af6~mv2.jpg/v1/fill/w_410,h_341,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359f_5804f05206d04aecbb83a683a61a2af6~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9 - 2020. 11. 26.
부자의 독성성분으로 아코니틴(그림)이 잘 알려져 있지만, 부자 중에는 이 외에도 뿌리와 뿌리줄기에 주된 독성성분인 mesaconitine, hypaconitine 등 diester diterpene alkaloids(DDA)들이 함유되어 있다....
2020년 12월 15일
조회수 0회
댓글 0개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8 - "부자(附子)의 독성물질 ‘아코니틴(aconitine)’" 2010.11.22](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94e64172b8a84ad8bcb42509b43eb6a7~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b2359f_94e64172b8a84ad8bcb42509b43eb6a7~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8 - "부자(附子)의 독성물질 ‘아코니틴(aconitine)’" 2010.11.22](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94e64172b8a84ad8bcb42509b43eb6a7~mv2.jp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359f_94e64172b8a84ad8bcb42509b43eb6a7~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8 - "부자(附子)의 독성물질 ‘아코니틴(aconitine)’" 2010.11.22
남미 인디언들은 짐승을 사냥할 때 큐라레(curare)라는 독을 화살 끝에 묻혀서 사용하였다. 이는 남미산의 댕댕이덩굴과 식물인 chondrodendron의 침출액으로 d-투보쿠라린이라는 일종의 알칼로이드가 주성분이다. 화살을 맞은 동물 몸...
2020년 12월 15일
조회수 0회
댓글 0개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7 - "부자(附子), 오두(烏頭), 초오(草烏), 천오(川烏)의 차이" 2010.11.15](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756990c2cb24459e9e329cd9dd6d75d1~mv2.jpg/v1/fill/w_289,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b2359f_756990c2cb24459e9e329cd9dd6d75d1~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7 - "부자(附子), 오두(烏頭), 초오(草烏), 천오(川烏)의 차이" 2010.11.15](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756990c2cb24459e9e329cd9dd6d75d1~mv2.jpg/v1/fill/w_394,h_341,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359f_756990c2cb24459e9e329cd9dd6d75d1~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7 - "부자(附子), 오두(烏頭), 초오(草烏), 천오(川烏)의 차이" 2010.11.15
부자는 가장 독성이 강한 상용 한약재 중 하나다. 부자는 강한 독성 때문에 사용하기를 꺼려하거나 열성(熱性)이 높고 소음인약이라는 생각 때문에 다른 체질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 한의사들이 꽤 있다. 그러나 부자만큼 높은 효능을 가지고 있는 한약도...
2020년 12월 15일
조회수 16회
댓글 0개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6 - "한약과립제, 용량 제대로 쓰자" 2010.11.01](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f3fad5acb21441a0bcac0252558b6310~mv2.jpg/v1/fill/w_328,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b2359f_f3fad5acb21441a0bcac0252558b6310~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6 - "한약과립제, 용량 제대로 쓰자" 2010.11.01](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f3fad5acb21441a0bcac0252558b6310~mv2.jpg/v1/fill/w_394,h_300,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359f_f3fad5acb21441a0bcac0252558b6310~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6 - "한약과립제, 용량 제대로 쓰자" 2010.11.01
현재 한의원에서 처방하는 탕제는 복용하거나 보관하기가 어려워 불편을 호소하는 소비자들이 꽤 있다. 만일 효능이 같다면 직접 달인 탕제보다 현대화된 GMP제조업체에서 생산되는 정제나 과립제 등이 한약의 품질 및 위생관리체계의 효율성 측면에서 소비자...
2020년 12월 15일
조회수 1회
댓글 0개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5 - “증류한약, 탕제와는 완전히 다른 약이다” 2010.10.18](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a2f85f9603fc4c43be5edb42f5625dcb~mv2.jpg/v1/fill/w_297,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b2359f_a2f85f9603fc4c43be5edb42f5625dcb~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5 - “증류한약, 탕제와는 완전히 다른 약이다” 2010.10.18](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a2f85f9603fc4c43be5edb42f5625dcb~mv2.jpg/v1/fill/w_394,h_332,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359f_a2f85f9603fc4c43be5edb42f5625dcb~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5 - “증류한약, 탕제와는 완전히 다른 약이다” 2010.10.18
증류한약은 한약을 전탕할 때 발생되는 수증기를 액화시켜 만든다. 식물성 한약재들은 대부분 휘발성분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전탕할 때 휘발되는 성분들을 액화시키면 쉽게 증류한약을 만들 수 있다. 중국에서는 이슬이 생기는 원리와 같다고...
2020년 12월 15일
조회수 2회
댓글 0개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4 - "한약 제형 개발에는 ‘지표효능’ 비교를 통한 약효 동등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2010.10.11](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c3edab02f6394b919b80fecfdfe3c012~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b2359f_c3edab02f6394b919b80fecfdfe3c012~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4 - "한약 제형 개발에는 ‘지표효능’ 비교를 통한 약효 동등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2010.10.11](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c3edab02f6394b919b80fecfdfe3c012~mv2.jp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359f_c3edab02f6394b919b80fecfdfe3c012~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4 - "한약 제형 개발에는 ‘지표효능’ 비교를 통한 약효 동등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2010.10.11
간편한 제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한약재를 추출할 때 물 이외의 용매로 바꾸거나 용량을 효과가 나타나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줄여서 고형추출물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야기한 바 있다. 그런데 여기에는 고려해야 할 문제가 있다. 제형은 간편하게...
2020년 12월 15일
조회수 0회
댓글 0개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3 - "원장님, 한약 용량이 너무 많지 않나요?" 2010.10.04](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cc15660c13484c4894ef782ba34adf60~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b2359f_cc15660c13484c4894ef782ba34adf60~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3 - "원장님, 한약 용량이 너무 많지 않나요?" 2010.10.04](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cc15660c13484c4894ef782ba34adf60~mv2.jp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359f_cc15660c13484c4894ef782ba34adf60~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3 - "원장님, 한약 용량이 너무 많지 않나요?" 2010.10.04
“모든 약은 독이다. 다만 용량의 차이일 뿐…” 우리가 잘 아는 이 경구는 서양약리학의 할아버지로 불리는 파라셀주스(1453~1541)가 한 말이다. 물론 우리 한의학에서도 일찌감치 약을 독으로 표현하였고 용량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2020년 12월 15일
조회수 3회
댓글 0개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2 - "주수상반(酒水相半)의 의미" 2010.09.27](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e9351d41a99845dbb4f26687890b9fcc~mv2.jpg/v1/fill/w_367,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b2359f_e9351d41a99845dbb4f26687890b9fcc~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2 - "주수상반(酒水相半)의 의미" 2010.09.27](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e9351d41a99845dbb4f26687890b9fcc~mv2.jpg/v1/fill/w_454,h_309,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359f_e9351d41a99845dbb4f26687890b9fcc~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2 - "주수상반(酒水相半)의 의미" 2010.09.27
한약 효능은 기미론을 바탕으로 한다. 하지만 굳이 함유 성분으로 설명하자면 한약 중의 함유 성분들이 모두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한 결과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그래서 동일한 한약재라고 하여도 함유 성분 중 어떤 성분들이 추출되느냐에 따라 효능이...
2020년 12월 15일
조회수 2회
댓글 0개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1 - "한약을 알코올로 추출하면 고형추출물이 줄어든다" 2010.09.13](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3eb51e37c1064dfba39689eeaca68002~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b2359f_3eb51e37c1064dfba39689eeaca68002~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1 - "한약을 알코올로 추출하면 고형추출물이 줄어든다" 2010.09.13](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3eb51e37c1064dfba39689eeaca68002~mv2.jp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359f_3eb51e37c1064dfba39689eeaca68002~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1 - "한약을 알코올로 추출하면 고형추출물이 줄어든다" 2010.09.13
지난 칼럼에서 이야기하였듯이 한약으로 간편한 알약을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고형추출물 양이 적어야 한다. 십전대보탕 한첩 분량으로 알약 100개를 복용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고형추출물 양을 줄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추출 용매를 물 대신...
2020년 12월 15일
조회수 1회
댓글 0개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0 - “십전대보탕을 알약으로 만든다면…” 2010.09.06](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2fff6a803a40469298f182b9dfc2bb64~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b2359f_2fff6a803a40469298f182b9dfc2bb64~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0 - “십전대보탕을 알약으로 만든다면…” 2010.09.06](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2fff6a803a40469298f182b9dfc2bb64~mv2.jp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359f_2fff6a803a40469298f182b9dfc2bb64~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0 - “십전대보탕을 알약으로 만든다면…” 2010.09.06
십전대보탕으로 탕약 대신 알약 한 두 개를 복용한다. 그렇지 않으면 사물탕 한 알, 사군자탕 한 알, 황기 한 알, 육계 한 알을 함께 복용한다. 탕약을 번거롭게 매번 달이는 것보다 이렇게 알약을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복용한다는 것은 참으로...
2020년 12월 15일
조회수 6회
댓글 0개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9 - “한약파우치는 오래 보관하면 효과가 감소한다” 2010.08.30](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126d72b0e5744374b6f93a0fad08fe6b~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b2359f_126d72b0e5744374b6f93a0fad08fe6b~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9 - “한약파우치는 오래 보관하면 효과가 감소한다” 2010.08.30](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126d72b0e5744374b6f93a0fad08fe6b~mv2.jp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359f_126d72b0e5744374b6f93a0fad08fe6b~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9 - “한약파우치는 오래 보관하면 효과가 감소한다” 2010.08.30
재래식 약탕관으로 전탕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1980년대 후반에 개발되어 출시된 한약추출기는 당시로는 획기적인 방법이었다. 약은 처방하는 정성, 달이는 정성, 복용하는 정성, 이렇게 세 가지의 정성이 있어야 병이 치료된다는 기존 생각을 탈피하여...
2020년 12월 15일
조회수 3회
댓글 0개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8 - "한약추출기로 전탕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 2010.08.23](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f4501446d97343b28e0cab9f05812038~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b2359f_f4501446d97343b28e0cab9f05812038~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8 - "한약추출기로 전탕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 2010.08.23](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f4501446d97343b28e0cab9f05812038~mv2.jp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359f_f4501446d97343b28e0cab9f05812038~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8 - "한약추출기로 전탕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 2010.08.23
지난 칼럼에서 이야기한 효과적인 한약 전탕법은 한 첩 또는 하루 분량을 달일 때의 조건이었다. 그런데 한의원에서는 대부분 한약추출기로 한제씩 전탕하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적용하려면 몇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한약추출기 전탕에서도 전탕시간,...
2020년 12월 15일
조회수 5회
댓글 0개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7 - "처방 중 한약재를 한꺼번에 달이면 개별적으로 달여서 합한 것보다 효능이 높을까?" 2010.08.16](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19e2e35276d64ba6814a664e3af46c76~mv2.jpg/v1/fill/w_398,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b2359f_19e2e35276d64ba6814a664e3af46c76~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7 - "처방 중 한약재를 한꺼번에 달이면 개별적으로 달여서 합한 것보다 효능이 높을까?" 2010.08.16](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19e2e35276d64ba6814a664e3af46c76~mv2.jpg/v1/fill/w_454,h_28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359f_19e2e35276d64ba6814a664e3af46c76~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7 - "처방 중 한약재를 한꺼번에 달이면 개별적으로 달여서 합한 것보다 효능이 높을까?" 2010.08.16
한약의 배합원리는 매우 중요한 한의학 이론 중 하나다. 처방을 구성하는 한약들은 ‘약의 칠정’ 원리에 의해 서로 상승작용도 일으키기도 하고 제어작용을 일으키기도 하면서 치료효과를 높이거나 부작용을 줄인다. 배합원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탕제를 만들...
2020년 12월 15일
조회수 2회
댓글 0개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6 - "압력과 무압력 전탕의 차이" 2010.08.02](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69c6b079e8bb47da8f3731ecc3f952c7~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b2359f_69c6b079e8bb47da8f3731ecc3f952c7~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6 - "압력과 무압력 전탕의 차이" 2010.08.02](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69c6b079e8bb47da8f3731ecc3f952c7~mv2.jp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359f_69c6b079e8bb47da8f3731ecc3f952c7~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6 - "압력과 무압력 전탕의 차이" 2010.08.02
압력 추출기로 전탕하는 것과 무압력 추출기로 전탕하는 것과는 어떤 차이일까?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처방마다 구성 한약재들이 다르기 때문에 어느 한 방법이 좋다고 단정지어 말하기는 어렵다. 아직 많은 연구를 기다려야 하지만 지금까지 연구된 결과를...
2020년 12월 15일
조회수 2회
댓글 0개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5 - "선전(先煎), 추출률을 높이거나 독성을 줄인다" 2010.07.26](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fd1189b2b7764a8f9ce5bbfd78668562~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b2359f_fd1189b2b7764a8f9ce5bbfd78668562~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5 - "선전(先煎), 추출률을 높이거나 독성을 줄인다" 2010.07.26](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fd1189b2b7764a8f9ce5bbfd78668562~mv2.jp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359f_fd1189b2b7764a8f9ce5bbfd78668562~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5 - "선전(先煎), 추출률을 높이거나 독성을 줄인다" 2010.07.26
짧은 전탕으로는 유효물질이 완전히 추출되지 않을 것 같은 불안감이나 오래 전탕하면 물질이 많이 추출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으로 필요 이상 오래 끓이는 한의사들이 꽤 있다. 실제로 일부 한약재들은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추출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2020년 12월 15일
조회수 2회
댓글 0개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4 - "달일 때 ‘後下’하지 않는다면 효과를 기대하지 말라" 2010.07.19](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b536800e7b29456c94fc6684c27defb4~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b2359f_b536800e7b29456c94fc6684c27defb4~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4 - "달일 때 ‘後下’하지 않는다면 효과를 기대하지 말라" 2010.07.19](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b536800e7b29456c94fc6684c27defb4~mv2.jp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359f_b536800e7b29456c94fc6684c27defb4~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4 - "달일 때 ‘後下’하지 않는다면 효과를 기대하지 말라" 2010.07.19
한약을 달일 때 유효물질의 함량에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요인은 두말할 나위 없이 전탕시간이다. 그런데 한약재를 달일 때 ‘선전(先煎)’이나 ‘후하(後下)’하여야 하는 한약재들이 있다. ‘선전’은 다른 한약재보다 약재를 미리 넣어서 오래 끓이는...
2020년 12월 15일
조회수 4회
댓글 0개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3 - "효과적인 한약전탕 방법" 2010.07.12
효과적인 전탕방법을 알아보자. 전탕할 때의 용기로는 옛날에는 ‘銀爲上, 磁者次之’라고 하여 은이 가장 좋고 다음에는 도자기가 좋다고 하였는데, 대개 도자기, 유리, 법랑 등이 무난하다. 그리고 주석이나 철은 사용하지 말라고 하였다. 연구에 의하면...
2020년 12월 15일
조회수 11회
댓글 0개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2 - “한약을 달일 때 오래 끓일 필요는 없다” 2010.07.05](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45660715b593404d86554d201ca4d1d0~mv2.jpg/v1/fill/w_380,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b2359f_45660715b593404d86554d201ca4d1d0~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2 - “한약을 달일 때 오래 끓일 필요는 없다” 2010.07.05](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45660715b593404d86554d201ca4d1d0~mv2.jpg/v1/fill/w_454,h_299,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359f_45660715b593404d86554d201ca4d1d0~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2 - “한약을 달일 때 오래 끓일 필요는 없다” 2010.07.05
탕제를 만들 때 얼마 동안 달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까? 일반적으로 한약을 약 2시간 정도 달여서 탕제를 만든다. 한 제를 한꺼번에 달일 때는 3시간 정도 또는 그 이상 달이는 한의원들도 많다. 과연 한약은 이렇게 오래 달일수록 효과적인가?...
2020년 12월 15일
조회수 9회
댓글 0개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 - “현대인들은 한약에 과학적 근거를 요구하고 있다” 2010.06.28](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6d43ae9cd8594b828d3fcc953c9ac9d0~mv2.jpg/v1/fill/w_160,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b2359f_6d43ae9cd8594b828d3fcc953c9ac9d0~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 - “현대인들은 한약에 과학적 근거를 요구하고 있다” 2010.06.28](https://static.wixstatic.com/media/b2359f_6d43ae9cd8594b828d3fcc953c9ac9d0~mv2.jpg/v1/fill/w_177,h_276,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b2359f_6d43ae9cd8594b828d3fcc953c9ac9d0~mv2.webp)
[한의신문] 꼭 알아야 할 한약이야기 1 - “현대인들은 한약에 과학적 근거를 요구하고 있다” 2010.06.28
칼럼을 시작하며… 한약은 한의사들이 사용하는 주된 치료수단 중 하나이다. 비약물요법이 발달된 서양의학에 비하면 한의학에서 한약의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최근 들어 유기농 식품이나 천연비타민, 천연화장품 등 자연주의가 각광받고 있지만, 정작 치료에...
2020년 12월 15일
조회수 6회
댓글 0개
bottom of page